초당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HOME
LOGIN
JOIN
Toggle navigation
열국연의
테마연의
그림자료
사기
시경
한시선
한국사
중국사
자료실
Today
172
Yesterday
774
Max
2,389
Total
1,555,851
한시선
선진
악부
당시
송시사
원명청
근현대
시론
초당
성당
중당
만당
오대
Total 13건
1 페이지
초당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3
제도성남장(題都城南莊)
제도성남장(題都城南莊) 최호(崔顥) 去年今日此門中(거년금일차문중)작년 이맘 때 이 문 앞에서 人面桃花相映紅(인면도화상영홍)그녀의 얼굴과 복숭아꽃이 서로 붉게 비쳤다. 人面不知何處去(인면부지하처거)그녀의 얼굴은 이제 간 데 없고 桃花依舊笑春風.....
운영자
4
11-19
12
감우시(感遇詩) Iv (31-38)
댓글
+ 1
개
31朅來豪遊子(걸래호유자)호탕하게 노니는 자들勢利禍之門(세리화지문)권세와 이익은 재앙의 문이라네!如何蘭膏歎(여하란고탄)어찌하여 난초와 기름이 탄식하며感激自生冤(감격자생원)감정이 격동해서 스스로 억울해 하는가?眾趨明所避(중추명소피)사람이 쫓는 바는 지혜있는 자가 피하는 .....
운영자
213
07-17
11
감우시(感遇詩) III (21-30)
댓글
+ 1
개
감우시(感遇詩) III (21-30)之廿一蜻蛉遊天地(청령유천지)잠자리는 천지를 돌아다니며與世本無患(여세본무환)다른 생물과 본래 얽힐 일 없다.飛飛未能止(비비미능지)그런데도 훨훨 날지 못하는 이유는黃雀來相干(황작래상간)참새가 날아와 간섭하기 때문이다.①穰侯富.....
운영자
167
07-17
10
감우시(感遇詩) II (11-20)
댓글
+ 1
개
감우시II(11-20) 之十一 吾愛鬼谷子(오애귀곡자) 내가 존경하는 귀곡자 선생 青溪無垢氛(청계무구분) 더럽고 탁한 기운 없는 청계산에서① 囊括經世道(낭괄경세도) 세상을 구할 묘책을 품에 지녔으면서도 遺身在白雲(유신재백운)。 몸은 흰 구름 사이에 .....
운영자
157
07-17
9
감우시(感遇詩) I(1-10) - 진자앙
감우시(感遇詩) 38수 진자앙(陳子昻: 659~700) 당나라 초당 때 혁신적인 시문발전에 공헌한 문인 중의 한 명이다. 자는 백옥(伯玉)이고 사천성 재주(梓州) 사홍(射洪) 사람이다. 일찍이 우습유(右拾遺)라는 관직에 올랐음으로 후세 사람들은 진습유(陳拾遺)로 불.....
운영자
2329
05-29
8
貧窮田舍漢(빈궁전사한) - 王梵志
貧窮田舍漢(빈궁전사한) - 가난한 시골 사람 - 王梵志(?—約670年) 승려 출신으로 당대로써는 보기드믄 시인이다. 위주(衛州) 여양(黎陽) 출신이다. 여양은 지금의 하남성 준현(浚縣)이다. 원래의 이름은 범천(梵天)이고 그의 생애나 가족 관계 등 모두가 불상.....
운영자
655
06-12
7
獨不見(독불견) - 징병나간 낭군을 볼 수 없는 신부의 서러움(심전기)
獨不見(독불견)➀ - 낭군을 볼수 없는 신부의 서러움 - 盧家少婦鬱金堂(노가소부울금당)➁ 노씨네 새댁 별당엔 울금향 향기 海燕雙棲玳瑁梁(해연쌍서대모량)➂ 제비 한 쌍 날아와 대모 들보 위에 집을 짓는다. 九月寒砧催木葉(구월한침최목엽)➃ 구월 다듬이소리.....
운영자
702
06-11
6
제경편(帝京篇) - 낙빈왕(駱賓王)
제경편(帝京篇) 낙빈왕(駱賓王 : 640?~684)절강성 이오(義烏) 출생이다. 조숙한 천재 소리를 들었으나 출신이 낮아 불우하였고, 장안(長安)의 주부(主簿)였을 때 측천무후의 노여움을 사 절강성 임해(臨海)의 승(丞)으로 좌천되었다. 그래서 낙임해(駱臨海) 또는 .....
운영자
1368
11-09
5
長安古意(장안고의) 盧照隣
長安古意(장안고의) 노조린(盧照隣 : 637?-676?) 자는 승지(升之), 지금의 북경시 대흥현(大興縣)연 범양(范陽) 출신이다. 벼슬이 신도위(新都尉)까지 올랐다가 병으로 사직했다. 손발이 마비되는 병으로 받은 고통을 호소하는 오비문(吾悲文)과 석질문(釋.....
운영자
1558
11-09
4
진자앙 시선 [ 陳子昻詩選 ]
진자앙 시선 [ 陳子昻詩選 ] 송용준(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1. 중국 시의 전개 과정을 이야기하자면 당연히 ≪시경(詩經)≫에서부터 시작하겠지만 중국 시사(中國詩史)에서 당시(唐詩)의 형성에 대해 언급할 때는 대부분 한말(漢末)의 건안1) .....
운영자
1491
11-07
3
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 -陳子昻
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 ) 陳子昻 前不見古人(전불견고인) 앞으로는 옛사람을 보지 못하고 後不見來者(후불견래자) 뒤로는 오는 사람 보지 못하네 念天地之悠悠(염천지지유유) 천지의 유유함을 곰곰히 생각하다가 獨愴然而涕下.....
운영자
767
09-30
2
在獄詠蟬幷序(재옥영선병서) - 옥에 갇혀서 매미를 노래하다. (駱賓王)
在獄詠蟬幷序(재옥영선병서) - 옥에 갇혀서 매미를 노래하다. - -낙빈왕(駱賓王) 낙빈왕(駱賓王)은 대략 627년에 나서 684년에 죽은 당나라 초기의 시인으로 자는 관광(觀光)이고 지금의 절강성 의오인 무주(婺州) 의오(義烏) 출신이다. 당초 왕발(王勃).....
운영자
1117
07-06
1
등왕각서(滕王閣序)-왕발(王勃)
댓글
+ 1
개
등왕각서(滕王閣序) 왕발(王勃) 원 제목은 《추일등홍부등왕각전별서(秋日登洪府滕王閣錢別序)》혹은 《등왕각시서(滕王閣詩序)》라고도 한다. 등왕각은 그 옛터가 지금의 강서성(江西省) 남창시(南昌市)에 있다. 초당사걸(初唐四傑) 중의 한 명인 왕발(王勃)은 명문가 출신으.....
운영자
4111
04-21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