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
阿房宮賦(아방궁부)
댓글+ 1개
阿房宮賦(아방궁부) 두목(杜牧) 《사기(史記)‧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에 시황제(始皇帝)가 조영한 아방궁(阿房宮)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시황제(始皇帝) 재위 35년인 기원전 209년, 진나라의 서울인 함양(咸陽)은 인구가 많아져서, 선왕(先王)이.....
|
운영자 |
341 |
08-05 |
13 |
亂後逢村叟(난후봉촌수) -난리를 겪은 촌로의 비참한 생활 -
亂後逢村叟(난후봉촌수)- 난리를 겪은 촌로의 비참한
생활 -經亂衰翁居破村(경란쇄옹거파촌)난리를 겪은 노쇠한 늙은이가 파괴된 촌락에 사는데 村中何事不傷魂(촌중하사불상혼) 마을 안에서 어떤 일인들 넋을 나가게 하지 않았겠는가?因供寨木無桑柘(인공채목무상자)성채에 나무.....
|
운영자 |
148 |
05-26 |
12 |
피일휴의 정악부 10수
正樂府十篇(정악부십편)
皮日休(피일휴 : 813-902))
만당 시인으로 자는 습미(襲美) 혹은 일소(逸少)다. 녹문산(鹿門山)에 살았음으로 스스로 녹문자(鹿門子)라고 칭하고 또 간기포의(間氣布衣) 혹은 취음선생(醉吟先生)이라고도 자칭했다. 지금의 호북성 천문시(天.....
|
운영자 |
1607 |
02-18 |
11 |
강호산인가(江湖散人歌) - 강호에 숨어사는 은자의 노래(육구몽) -
강호산인가(江湖散人歌)
- 강호에 숨어사는 은자의 노래 -
육구몽(陸龜蒙)
강호산인이란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롭게 사는 사람을 말한다. 즉 육구몽 자신을 지칭하낟. 이 시는 표면적으로는 자신이 선택한 은거의 한적하고 평안한 삶을 표현하고 있지만 단순히 개인적인.....
|
운영자 |
886 |
10-24 |
10 |
野庙碑(야묘비) - 육구몽
野庙碑(야묘비)
육구몽(陸龟梦)
자 노망(魯望). 호 천수자(天隨子)·보리선생(甫里先生). 강소성 소주(蘇州) 출생. 소주의 명문 출신으로 어렸을 때 이미 육경(六經)에 능통하였으며, 특히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었다. 진사시험에 추천되었으나 합격하지 못하고 .....
|
운영자 |
942 |
02-11 |
9 |
신비시인-이상은(李商隱)
신비시인-이상은(李商隱)
당조 말의 유명한 신비시인 이상은은 기원 813년에 지금의 하남성 심양현(沁陽縣)에서 태어나서 858년에 죽었다.
그는 중국 문학사상 가장 알 수 없는 인물이다. 그의 시는 복잡하게 뒤얽혀 도무지 종잡을 수 없으며, 도처에 아름답고 .....
|
운영자 |
1751 |
02-10 |
8 |
식규(息嬀) 탄가
식규(息嬀)
細腰宮里露桃新(세요궁리로도신)
세요궁 안의 이슬 맺힌 복숭아가 새로운데
脈脈无言幾度春(맥맥무언기도춘)
가슴속에 품은 채 말도 하지 않고 지내기를 몇 해이던가?
畢竟息亡緣底事(필경식망연저사)
필경은 식후가 죽은 것은 식규의 미모 때문.....
|
양승국 |
1703 |
07-08 |
7 |
秦婦吟(진부음) - 2
九
明朝曉至三峰路(명조요지삼봉로)①
다음날 아침 새벽에 삼봉로에 이르렀는데
百萬人家無一戶(백만인가무일호)
백만의 인가는 한 채도 남아있지 않았습니다.
破落田園但有蒿(파락전원단유호)
파락한 전원은 다만 쑥덤불뿐이고
摧殘竹樹皆無主(최잔죽수개무주)
망가진 대나.....
|
운영자 |
814 |
01-26 |
6 |
진부음(秦婦吟) 1 - 위장(韋莊)
秦妇 吟(진부음)위장(韋莊 : ?-910) 당말오대(唐末五代) 시인으로 자는 단기(端己)다. 섬서성 장안(長安) 두릉(杜陵) 출신이다. 당현종 때 재상을 지낸 위견소(韋見素)의 후손이다. 어렸을 때 부모를 잃고 곤공한 처지에서도 학문에 힘썼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매우.....
|
운영자 |
1337 |
01-26 |
5 |
傷田家(상전가)
傷田家(상전가)
섭이중(聶夷中)
二月賣新絲(이월매신사)
이월에는 앞으로 나올 명주를 미리 팔고
五月糶新穀(오월조신곡)
오월에는 가을 곡식을 담보로 식량을 빌리네
醫得眼前瘡(의득안전창)
눈 앞에 난 부스럼은 낫겠지만
剜卻心頭肉(완극심두육)
매청(賣靑.....
|
운영자 |
576 |
11-23 |
4 |
|
운영자 |
1324 |
11-23 |
3 |
금슬(錦瑟)
금슬(錦瑟)
이상은(李商隱)
錦瑟無端五十弦(금슬무단오십현) :
아름다운 비파 줄이 까닭 없이 오십 줄인가?
一弦一柱思華年(일현일주사화년)
현 하나 발 하나에 꽃다운 시절 생각한다.
莊生曉夢迷蝴蝶(장생효몽미호접)
장주는 아침 꿈에서 호랑나비 미혹했고
.....
|
운영자 |
928 |
11-23 |
2 |
橡媼嘆(상온탄) - 도토리 줍는 노파를 보고 한탄하노라! -
橡媼嘆(상온탄)
- 도토리 줍는 노파를 보고 한탄하노라! -
피일휴(皮日休)
도토리 줍는 노파의 형상과 그의 비참한 생활은 봉건체제 하의 농민들이 맞이해야 했던 비참한 운명을 그대로 그려낸 축도다. 그들은 지주의 고리대착취를 받아야했고 탐관들의 약탈에서 벗어날.....
|
운영자 |
923 |
05-13 |
1 |
讀李斯傳(독이사전)
讀李斯傳(독이사전)
一車致三轂(일거치삼곡)
한 수레에 바퀴를 세 개나 단 것은
本圖行地速(본도행지속)
원래 빨리 달리려고 한 것이지만
不知駕馭難(부지가어난)
그러나 이는 수레 몰기가 어렵다는 것을 모르는 소치라
擧足成顚覆(거족성전복)
출.....
|
운영자 |
1325 |
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