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풍 15개국 위치 비정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조회 4,694회 작성일 11-03-29 12:19본문
주(周), 소(召), 패(邶), 용(鄘), 위(衛), 왕(王), 정(鄭), 제(齊), 위(魏), 당(唐), 진(秦), 진(陳), 회(檜), 조(曹), 빈(豳)
옛날 학자들은 "풍(風)"자를 "풍자(諷刺)" 또는 "풍유(諷諭)"의 뜻을 지닌 "풍(諷)"으로 풀이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풍(風)"을 현대 중국어의 민간가요라는 뜻인 "풍요(風謠)로 풀이하고 있다.
"풍"자에 "국(國)"자를 덧붙여 "국풍(國風)"이라 한 것은 전국시대 말엽부터 시작된 듯 한데, 이것은 여러 나라의 민요라는 뜻이다. 국풍 속에는 주남, 소남, 패, 용, 위, 왕, 정, 제, 위, 당, 진(秦), 진(陳), 회, 조, 빈등 15국의 민요가 실려 있다. 이들은 대부분 작자를 알 수 없는 것으로 후인의 윤색을 거친 민간가요들이다.
시경 305편 중 에서 160편을 차지하는 국풍은 가장 우수하면서도 현실주의 특색을 구비한 작품이다. 그것은 생동적이면서도 소박한 동시에 예술적으로도 가장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 내용은 대부분 남녀간의 사랑이나 농촌의 생활, 사회생활에 대한 인식 등을 묘사한 것으로 제재의 폭이 아주 넓으며, 특히 정풍, 제풍, 위풍에는 연정시가 많다...........
논어 <양화편>에 서술된 시경
子曰 小子何莫學夫詩. 詩, 可以觀, 可以羣, 可以怨, 邇之事父. 遠之事君, 多識於鳥獸草木之名.
공자가 말했다. “너희들은 왜 시경을 배우지 않느냐?? 시경은 감흥을 일으켜 정서를 순화하고 사물을 바르게 관찰할 수 있게 하며 많은 사람들과 사귀게 하고 불의를 비판할 수 있게 하며 집안에서는 부모를 섬기고 나가서는 임금을 받들게 하고 새, 짐승, 풀, 나무의 이름을 많이 알게 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