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국연의

 

 
 
 
한국사
1. 선사
2. 고조선
3. 삼국
4. 남북국
5. 고려
6. 조선전기
7. 조선후기
8. 일제
9. 공화국
10. 통사
· 오늘 :  898 
· 어제 :  1,338 
· 최대 :  6,990 
· 전체 :  2,589,865 
 
  2013-02-14 08:29:409579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운영자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1. 개설

‘8개의 큰 성씨(姓氏)’라는 뜻으로서, 삼국시대 백제 후기의 대표적인 귀족가문 8개를 아울러 가리키는 말이다. ‘대성팔족’은 원래 고유명사가 아니고 수서(隋書)』 등을 비롯한 중국 역사서의 “(백제) 나라 안에 큰 성씨로서 8개 집안이 있으니[國中大姓有八族]…”라는 문장에서 비롯된 말이며, 삼국사기(三國史記)』 등의 국내 역사서에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2. 연원 및 변천

백제의 대성 8족에 대해 기록한 중국역사서는 수서(隋書)』, 북사(北史)』, 신당서(新唐書)』, 통전(通典)』, 그리고 「괄지지(括地志)」를 인용한 한원(翰苑)』 등이다. 그런데 8개 성씨에 대한 내용이 저마다 조금씩 다르다. 수서』와 신당서』에는 사씨(沙氏)․연씨(燕氏)․협씨(劦氏)․해씨(解氏)․정씨(貞氏)․국씨(國氏)․목씨(木氏)․백씨(苩氏)라고 적혀 있으며, 북사』에는 사씨(沙氏)․연씨(燕氏)․협씨(劦氏)․해씨(解氏)․진씨(眞氏)․국씨(國氏)․목씨(木氏)․묘씨(苗氏)로 나온다. 또한, 통전』에는 사씨(沙氏)․연씨(燕氏)․협씨(劦氏)․해씨(解氏)․진씨(眞氏)․국씨(國氏)․목씨(木氏)․백씨(苩氏)라고 적혀 있으며, 한원』에 인용된 「괄지지」에는 사씨(沙氏)․연씨(燕氏)․협씨(劦氏)․해씨(解氏)․진씨(眞氏)․목씨(木氏)․수씨(首氏)로 나온다.


한편, 삼국사기』 등의 국내기록에는 정씨(貞氏)․묘씨(苗氏)․수씨(首氏)가 전혀 보이지 않으며, 대신 진씨(眞氏)와 백씨(苩氏)가 자주 나온다. 이에 중국기록 가운데 통전』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3. 내용

중국기록에서는 대성 8족이 모두 단성(單姓)인 것처럼 소개되었지만, 백제 귀족들 중에는 복성(複姓)이 많았다. 사씨는 본래 사택(沙宅․沙吒)씨이고, 협씨와 목씨는 목협(木劦)씨에서 나왔다. 진씨는 진모(眞牟), 조미(祖彌), 저미(姐彌) 등 다양하게 표기되었으며, 국씨는 고이(古爾)씨, 연씨는 연비(燕比)씨와 같을 성씨일 개연성이 높다. 이는 마치 백제왕실 성씨인 부여씨(扶餘氏)를 중국사람들이 흔히 여씨(餘氏)로 기록한 것과 같다.


대성 8족 가운데 가장 일찍부터 중앙귀족으로 성장한 것은 해씨와 진씨였다. 그들은 왕실인 부여씨와 함께 북방에서 남하한 세력으로서, 백제 건국 무렵부터 군사력을 바탕으로 말갈(靺鞨)․낙랑(樂浪)․고구려(高句麗) 등 북쪽의 강적들과 대적하며 두각을 나타내더니 4세기 무렵부터는 번갈아 왕실의 외척으로 자리잡았다.


협씨와 목씨는 원래 목협씨에서 나왔다. 목협(木劦)은 ‘목리’ 혹은 ‘목례’로도 읽는데,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나오는 목라근자(木羅斤資)도 목협씨의 한사람이다. 목협씨가 언제 목씨와 협씨로 분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5세기 무렵 목협씨의 중앙 진출을 선도한 목협만치(木劦滿致)의 경우 일본서기』에는 목만치(木滿致)로도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때 이미 목씨로 단성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같은 책에는 6세기경의 백제인물로 목협매순(木劦昧淳)․목협마나(木劦麻那)․목협금돈(木劦今敦)․목협문차(木劦文次) 등이 소개되고 있어 단언하기 어렵다. 또, 목씨는 비교적 사례가 많으나, 협씨는 구체적인 사례를 찾을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면, 같은 목협씨를 중국사람들이 경우에 따라 목씨, 협씨 등으로 다르게 적어놓았을 개연성도 있다. 일본 고대의 호족 가운데 기(紀)씨를 목협씨에서 갈라져 나온 집안으로 보기도 한다. 여하튼 목협씨는 한성(漢城)도읍기 후반인 5세기에 중앙으로 진출하였으며, 서기 475년 웅진(熊津)천도를 주도하면서 중앙귀족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이러한 성장과정은 목협씨가 한성 남쪽지역에 기반을 둔 세력임을 시사한다.


사씨와 연씨는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뒤에 급성장한 세력이다. 따라서 사씨와 연씨의 근거지는 웅진(충남 공주), 사비(泗沘 ; 충남 부여)에서 가까운 금강유역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사씨는 사비로 천도한 뒤 왕비를 배출하고 사택지적(沙宅智積)이 대좌평(大佐平)에 오르는 등 최고의 귀족가문으로 성장하였다.


4. 의의와 평가

백제의 대성8족이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정립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이른바 대성 8족을 처음 소개한 것이 7세기 중엽에 편찬된 수서』 「백제전」이라는 점, 한성(漢城)도읍기의 유력 귀족들 중 우씨(優氏)를 비롯한 일부 성씨가 빠지고 대신 웅진(熊津)도읍기 이후에 새로이 귀족가문으로 발돋움한 사씨(沙氏)․연씨(燕氏) 등이 포함된 점, 한성~웅진도읍기에 왕실의 외척으로서 정권을 좌우하던 해씨와 진씨의 나열순서가 중간으로 밀려나고 사비(泗沘)도읍기에 왕실 외척으로 급부상한 사씨가 가장 먼저 적힌 점 등을 감안하면 사비 천도 이후에 성립했을 개연성이 가장 높다.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목록
9317
[]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고대사의 논쟁거리로 남아있는 고대 평양에 대한 올바른 위치 비정학계 일부에서는 평양의 위치가 시대 상황에 따라
운영자 20-05-02
[] 임나일본부 전시장이 되어버린 가야문화 전시회

국민세금 5조를 퍼들여 가야문화를 복원했다는 짓이 임나일본부 선전. 일본 극우파 역사관을 선전하는 식민매국사학자들의 용기있는 행동의 뒷 배경의
운영자 20-04-22
[] 고구려의 평양 천도

ㅅ 고구려의 평양 천도 동천왕이 천도한 평양에 대해 알아본다. 이 평양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도 논란이 많다. 이병도 박사는 집안에서
운영자 20-03-21
[] 백제멸망의 원흉 예식진 형제

백제 멸망 최후의 광경 (역사와 경계93(2014.12), 1~29쪽)1) 권 덕 영 부산외국어대학교 역사관광학과 교수/ dykwon@bufs.ac.kr 목차 (1)
운영자 15-06-15
[]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1. 개설 ‘8개의 큰 성씨(姓氏)’라는 뜻으로서, 삼국시대 백제 후기의 대표적인 귀족가문 8개를 아울러 가리키는
운영자 13-02-14
[] 신당서(新唐書) 고구려전(高句麗傳)

신당서(新唐書) 고구려전(高句麗傳) 고려(高麗)는 본래 부여(夫餘)의 별종이다. 국토는 동으로는 바다를 건너 신라(新羅)에 이르고, 남으로는
운영자 12-05-24
[] 통전(通典) 백제전(百濟傳)

통전(通典) 백제전(百濟傳) 通典 卷第一百八十五 邊防一 東夷上 百濟 百濟,卽後漢末夫餘王尉仇台之後,後魏時百濟王上表云:「臣與高麗先出夫餘
운영자 12-05-22
[] 대릉하(大陵河)

고구려와 중국의 국경선 이었던 대릉하 유역도 및 요동지방 지형도 대릉하는 중국 요녕성(遼寧省) 서부의 강줄기를 합쳐 요동만(遼東灣)으로 흘러
운영자 09-03-06
[] 고구려 멸망 때의 상황도

668년 고구려 멸망시 상황도 668년(보장왕 27) 나·당 연합군과의 싸움에 패함으로써 주몽 이래 700여 년을 이어온 고구려 왕조는 막을 내렸다.
운영자 09-03-06
[] 당태종의 고구려 침략과 고구려의 반격

644년 6월 당은 고구려의 요동 공격을 명령한 후 11월 수륙 양면으로 약 3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공격을 시작했다. 이때 당군
운영자 09-03-06
[] 고구려의 최대강역

고구려의 최대판도
운영자 09-03-06
[] 고구려의 도성 이동로

고구려의 도성 이동로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1-03-20 07:41:51 삼국(으)로 부터 이동됨]
운영자 09-03-06
[] 모용씨의 고구려 침입

선비족 모용씨와 우문씨의 고구려 침입로 고구려와 선비족(鮮卑族) 모용씨(慕容氏)와의 충돌은 293년(봉상왕 2)부터 시작되었다. 342년 모용 황의
운영자 09-03-06
[] 삼국의 문화 일본 전래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문화 일본 전래도.....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1-03-20 07:34:08 삼국(으)로 부터 이동됨]
운영자 09-03-06
[] 고구려.백제 연합군의 신라 공격

고구려 신라 연합군의 신라 압박도 여제동맹(同盟) 642년을 전후해서 고구려 ·백제가 신라를 누르기 위해 맺은 군사적 제휴관계.
운영자 09-03-06
1 [2][3][4][5][6][7][다음][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