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국연의

 

 
 
 
춘추쟁패
1부1 제후굴기
2부2 관포지교
2부3 백리해
2부4 유랑공자
3부5 초장왕
3부6 이일대로
4부7 오자서
전국쟁웅
5부8 전국칠웅
6부9 합종연횡
7부10 진시황
초한축록
통일천하
홍곡지지
초한축록
토사구팽
· 오늘 :  
· 어제 :  1,332 
· 최대 :  6,990 
· 전체 :  2,582,656 
 
  2004-05-11 00:17:3523071 
제1부-제1권 諸侯崛起(제후굴기 - 일어서는 제후들) 목차
양승국   (3970)
 bonghwa.jpg  (313.1K)   download : 378
 hunchudo.jpg  (349.9K)   download : 403
일반

열국연의 목차

제1부 통권1 제후굴기(諸侯崛起)

제1회

周宣王聞謠輕殺(주선왕문요경살)

길거리의 노래를 듣고 함부로 사람을 죽이는 주선왕과

杜大夫化厲鳴寃(두대부화려명원)

원귀(寃鬼)가 되어 무서운 소리로 울어대는 두 대부

1. 공화증흥(共和中興)

- 공화를 끝내고 주나라를 중흥시킨 주선왕(周宣王) -

2. 檿弧簊箙 幾亡周國(염호기복 기망주국)

- 뽕나무 활과 기초풀 전통은 주나라가 망할 징조로다.-

3. 용시정령(龍漦精灵)

- 용의 침을 받아 태어나는 포사(褒姒) -

4. 경살무고(輕殺無辜)

- 죄 없는 신하를 함부로 죽이는 주선왕 -

5. 화려명원(化厉鸣寃)

- 무서운 원귀(寃鬼)가 되어 원수를 갚은 두백(杜伯)과 자유(子儒).-

제2회

褒人贖罪獻美女(포인속죄헌미녀)

유왕에게 미녀를 바쳐 속죄하는 포성의 성주와

幽王烽火戲諸侯(유왕봉화희제후)

봉화를 올려 제후들을 회롱하는 주유왕

1. 昏君嗣位(혼군사위)

- 혼군이 주천자의 자리에 오르다. -

2. 地震議政(지진의정)

- 천재로 폐허가 된 나라에 미녀만을 구하는 주유왕 -

3. 헌미속죄(獻美贖罪)

- 포성의 성주가 미녀를 바쳐 죄를 용서받다 -

4. 褒姒得宠(포사득총)

- 궁궐로 들어가 주유왕의 총애를 받게 된 포사 -

5. 소반지변(小弁之變)

- 포사를 총애하여 태자와 왕비를 바꾸는 주유왕 -

6. 烽火戱諸侯(봉회희제후)

- 거짓 봉화를 올려 제후들을 희롱하다.-

제3회

犬戎主大鬧鎬京(견융주대뇨호경)

호경을 크게 어지럽힌 견융주와

周平王東遷洛邑(주평왕동천락읍)

나라를 동천하여 락읍으로 옮긴 주평왕

1. 신망국파(身亡国破)

- 몸은 죽고 나라는 망하다 -

2. 사로제후 근왕흥병(四路諸侯 勤王興兵)

- 왕성을 구하기 위해 출동하는 사로제후 -

3. 영립평왕(迎立平王)

- 태자 의구를 모셔와 천자로 세우다. -

4. 동천낙읍(東遷洛邑)

- 동쪽의 낙읍으로 나라를 옮겨 동주시대를 열다.-

제4회

秦文公郊天應夢(진문공교천응몽)

꿈속에서 받은 계시를 받아 교천제를 지내는 섬진의 문공과

鄭庄公掘地見母(정장공굴지현모)

황천에서 모친과 상봉하는 정장공

1. 진국흥기(秦國興起)

- 서방의 강국으로 섬진을 흥기시키는 진양공(秦襄公) -

2. 응몽교천(應夢郊天)

- 꿈속에서 계시로 교천제를 지내 천자의 꿈을 잉태시키는 진문공 -

3. 편애지화(偏愛之禍)

- 편애(偏愛)의 비극 -

4. 假借鴟鴞 闡說孝道(가차치효 천설효도)

- 올빼미의 일을 빌려 효의 길을 설파한 영고숙 -

5. 掘地見母(굴지현모)

- 황천을 파서 모친과 상봉하는 정장공 -

제5회

寵虢公周鄭交質(총괵공주정교질)

괵공을 총애하여 정나라와

인질을 교환하게 되는 주천자와

助衛逆魯宋興兵(조위역노송흥병)

위나라의 역신 주우(州吁)을 돕기 위해

군사를 일으킨 노(魯)와 송(宋) 두 나라

1. 정위교병(鄭衛交兵)

- 정위 두 나라의 싸움으로 천하대란의 막이 오르다. -

2. 周鄭交質(주정교질)

- 제후국 정나라와 인질을 교환하는 천자 -

3. 도할맥화(盜割麥禾)

- 천자국의 경계를 침범하여 곡식을 약탈하는 정나라 -

4. 석문지맹(石門之盟)

- 석문에서 공수동맹을 맺은 정(鄭)과 제(齊) 두 나라 -

5. 寵過必驕 驕必生亂(총과필교 교필생란)

- 총애가 지나치면 교만하게 되고, 교만은 란을 낳는다. -

6. 立威壓衆(입위압중)

- 전쟁을 일으켜 위세를 떨치고 백성들의 입을 막으려는 주우.-

7. 조역흥병(助逆興兵)

- 역신을 도와 군사를 일으켜 정나라를 공격하는 사로 제후군 -

8. 투이퇴적(投饵退敌)

미끼로 명분을 주어 5국 연합군을 물리치다. -

제6회

衛石碏大義滅親(위석작대의멸친)

대의를 위해 아들을 죽인 위나라 대부 석작과

鄭庄公假命伐宋(정장공가명벌송)

천자의 칙령을 도용하여 송나라를 정벌한 정장공

1. 調虎離山 借刀擒賊(조호이산 차도금적)

- 산을 떠나게 한 호랑이를 남의 칼을 빌려 포획하다. -

2. 대의멸친(大義滅親)

- 자식을 죽여 대의를 행하다. -

3. 離間宋陳(이간송진)

- 진나라를 이간시켜 송나라를 고립시키다. -

4. 가명벌송(假命伐宋)

- 천자의 명을 사칭하여 송나라를 정벌하다. -

5. 투습형양 해위송도(偸襲滎陽 解圍宋都)

- 정나라 형양을 기습하여 수양성에 대한 포위망을 풀다.-

제7회

公孫閼爭車射考叔(공손알쟁거사고숙)

수레를 다투다가 영고숙을 활로 쏘아 죽이는 공손알과

公子翬獻陷賊隱公(공자휘헌함적은공)

모함이 통하지 않자 노은공(魯隱公)을 시해한 공자휘

1. 鷸蚌相持 漁父之利(휼방상지 어부지리)

- 물총새와 조개가 싸우는 틈을 타서 이득을 취하다.-

2. 爭車比武(쟁거비무)

- 무예를 겨루어 수레를 다투는 정나라의 장수들

3. 妒賢射死(투현사사)

- 현능한 사람을 질투하여 활로 쏘아 죽이는 공손알 -

4. 獻諂弑君(헌첨시군)

- 아첨이 먹히지 않자 그 군주를 시해한 공자휘 -

제8회

立新君華督行賂(립신군화독행뢰)

신군을 위해 뢰물을 바쳐 제후국을 무마한 화독과

敗戎兵鄭忽辭婚(패융병정홀사혼)

융병을 물리친 정세자가 제나라의 청혼을 사양했다.

1. 輕師好兵 殺身之禍(경사호병 살신지화)

- 군사를 함부로 움직여 전쟁을 즐기다가 살신지화를 당하는 송상공 -

2. 奪妻弑君(탈처시군)

- 남의 아내를 빼앗고 군주를 시해하는 화독 -

3. 투서기기(投鼠忌器)

- 돌을 던져 쥐를 잡을 때는 장독대를 조심해야 하는 법이다. -

4. 이유파융(利誘破戎)

- 이(利)로써 유인하여 융병을 물리치는 정세자 홀(忽)-

5. 반고사혼(攀高辭婚)

- 분수에 맞지 않는 대국과의 혼사를 사양한 정세자 홀(忽)

제9회

齊侯送文姜婚魯(제후송문강혼노)

제희공은 문강을 노나라에 시집보내고

祝聃射周王中肩

정나라의 축담은 활을 쏘아 천자의 팔을 맞추었다.

1. 문강혼노(文姜婚魯)

- 노환공에게 시집가는 문강 -

2. 수갈지전(繻葛之戰)

- 천자의 군대와 수갈에서 싸우는 정나라 -

3. 전사천자(箭射天子)

- 활로 천자를 쏘아 어체를 상하게 하다. -

제10회

楚熊通僭號稱王(초웅통참호칭왕)

왕호를 참칭하는 초나라의 옹퉁과

鄭祭足被脇立庶(정제족피협입서)

송장공의 위협에 굴하여 군주를 바꾼 정나라 제족

1. 음렵피주(淫獵被誅)

- 사냥에 탐닉하다 살해당한 진려공(陳厲公) 타(佗)

2. 참호칭왕(僭號稱王)

- 참람하게 왕호를 칭하는 초나라 -

3. 강이시약 마비대방((强以示弱 麻痺對方)

- 강한 군사는 숨기고 약한 군사를 보여 상대방을 속이다. -

4. 포사오국(怖死誤國)

- 죽음을 두려워하여 나라를 그르친 제족(祭足) -

5. 피협입서(被脅立庶)

- 협박에 굴하여 서출을 정나라 군주로 세우다.

제11회

宋庄公貪賂構兵(송장공탐뢰구병)

재물을 탐하여 전쟁을 일으키는 송장공과

鄭祭足殺胥逐主(정제족살서축주)

사위를 죽이고 임금을 쫓아넨 정제족

1. 탐뢰구병(貪賂搆兵)

- 재물을 탐하여 병화를 불러들이는 송장공 -

2. 구기지전(救紀之戰)

- 기나라를 구원하는 전쟁이 7국의 국제전으로 번지다. -

제12회

衛宣公築臺納媳(위선공축대납식)

신대를 지어 며느리를 부인으로 맞이한 위선공과

高渠彌乘間易君(고거미승간역군)

제족이 나라를 비운 틈을 타서 군주를 바꾼 고거미.

1. 축대납식(築臺納媳)

- 며느리를 가로채 신대(新臺)를 짓고 부인으로 삼은 위선공-

2. 二子乘舟(이자승주) 泛泛其景(범범기경)

- 두 형제가 배를 타고, 유유히 경치를 즐기며 흘러가네 -

3. 兄弟爭死(형제쟁사)

- 대신 죽기를 서로 다투는 형제들 -

4. 자증서모(子蒸庶母)

- 서모를 부인으로 취한 위선공의 아들 공자석(公子碩)⑥ -

5. 승간역군(乘間易君)

- 기회를 틈타 그 군주를 바꾼 정나라의 고거미 -

제13회

魯桓公夫婦如齊(노환공부부여제)

부인을 동반하여 처가를 방문한 노환공과

鄭子亹君臣爲戮(정자미군신위륙)

제나라의 유인책에 빠져 살해당하는 정나라의 자미와 고거미

1. 魯桓如齊(노환여제)

- 문강을 데리고 제나라를 방문하는 노환공

2. 兄妹私通(형매사통)

- 오누이끼리 정을 통하는 제양공과 문강 -

3. 穢亂內宮 殺人滅口(예란내궁 살인멸구)

- 동생과 간통하여 내궁을 더럽히고 살수를 죽여 입을 막은 제양공-

4. 君臣爲戮(군신위륙)

- 제양공의 파논 함정에 빠져 살해당하는 정나라의 군주와 신하-

《제후굴기 목차 끝》

목록 비추천
1611
占쏙옙占쏙옙천
[일반] 프롤로그 - 550년 대동란의 서막

프롤로그 - 550년 대동란의 서막 - 주나라는 기원전 12세기 말엽 주무왕(周武王)이 은(殷)나라의 마지막 왕인 폭군 주왕(紂王)을 목야(牧野
운영자 12-02-11 3283
[일반] 제후연표1-일어서는 제후들

12제후연표 태사공은 《춘추역보첩(春秋曆譜牒)》을 읽다가 주나라 려왕(厲王)에 이르면 책을 내던지고 탄식하지 않은 적이 없다.
496.0K 양승국 04-10-26 4396
[일반] 제1부-제1권 諸侯崛起(제후굴기 - 일어서는 제후들) 목차

열국연의 목차 제1부 통권1 제후굴기(諸侯崛起) 제1회 周宣王聞謠輕殺(주선왕문요경살) 길거리의 노래를 듣고 함부로 사람을 죽이는
양승국 04-05-11 3970
[일반] 제13회. 兄妹私通(형매사통), 君臣爲戮(군신위륙)

제13회兄妹私通 君臣爲戮(형매사통 군신위륙) 친정에 들렸다가 오빠와 정을 통한 문강과 제양공의 함정에 빠져 죽임을 당한 정나라의 군주와 신하 (1)
양승국 04-05-11 3939
[일반] 제12회. 築臺納媳(축대납식), 乘間易君(승간역군)

제12회 築臺納媳 乘間易君(축대납식 승간역군) 며느리를 부인으로 삼아 신대에 같이 산 위선공과 기회를 노려 그 군주를 바꾼 정나라의 고
양승국 04-05-11 3577
[일반] 제11회. 貪賂搆兵(탐뢰구병), 殺婿逐主(살서축주)

제11회 貪賂搆兵 殺胥逐主(탐뢰구병 살서축주) 재물을 탐하여 전쟁을 일으키는 송장공과 사위를 죽이고 임금을 쫓아내는 정나라의 제족 1
양승국 04-05-11 2522
[일반] 제1회 聞謠輕殺 化厲鳴寃(문요경살 화려명원)

제1회 聞謠輕殺 化厲鳴寃(문요경살 화려명원) 길거리의 요언을 듣고 사람을 함부로 죽이는 주선왕과 원귀가 되어 억울함을 호소하는 두백( (1)
양승국 04-07-07 3021
[일반] 제10회. 僭號稱王(참호칭왕), 被脇立庶(피협입서)

제10회 僭號稱王 被脇立庶(참호칭왕 피협입서) 참람하게 왕호를 칭하는 초무왕 웅통과 송장공의 위협에 굴복하여 군주를 바꾸는 정나라의 제족
양승국 04-05-11 2431
[일반] 제9회. 文姜婚魯(문강혼노) 射王中肩(사왕중견)

제9회 文姜婚魯 射王中肩 (문강혼노 사왕중견) 문강은 노환공(魯桓公)에게 시집가고 정나라 장수 축담은 활을 쏘아 주천자의 어깨를 맞추었다.
양승국 04-05-11 2363
[일반] 제8회. 貪色弑逆(탐색시군) 攀高辭婚(반고사혼)

제8회 貪色弑君 利誘破戎(탈처시군 이유파융) 미색을 탐하여 그 군주를 시해하는 송나라의 태재 화독과 이(利)로써 유인하여 융병을 무찌른 정세
양승국 04-05-11 2493
[일반] 제7회. 暗箭傷人(암전상인), 獻諂弑君(헌첨시군)

제7회 暗箭傷人 獻諂弑君 (암전상인 헌첨시군) 수레를 다투던 영고숙을 쏘아 죽인 공손알과 아첨이 안 먹히자 오히려 노은공을 시해한 공자휘
양승국 04-05-11 2431
[일반] 제6회. 大義滅親(대의멸친), 假命伐宋(가명벌송)

제6회 大義滅親 假命伐宋(대의멸친 가명벌송) 아들을 죽여 대의멸친하는 위나라의 대부 석작과 천자의 칙령을 사칭하여 송나라를 정벌하는 정장공
양승국 04-05-11 2663
[일반] 제5회. 周鄭交質(주정교질), 助逆興兵(조역흥병)

제5회 周鄭交質 助逆興兵(주정교질 조역흥병) 정나라와 인질을 교환하게 되는 천자와 역도를 도와 군사를 일으키는 노와 송 두 나라 1. 정위교
양승국 04-05-11 2697
[일반] 제4회. 郊天應夢(교천응몽) 掘地見母(굴지현모)

제4회 應夢郊天 掘地見母(응몽교천 굴지현모) 꿈속의 계시로 교천제를 지내 천자에의 꿈을 잉태시키는 진문공과 땅굴 속의 지하에서 모친과 상봉
양승국 04-05-11 2512
[일반] 제3회. 身亡國破(신망국파) 東遷洛邑(동천락읍)

제3회 身亡國破 東遷洛邑(신망국파 동천낙읍) 몸은 죽고 나라를 망하게 한 주유왕과 나라를 동쪽의 락읍으로 옮긴 주평왕 1. 신망
양승국 04-05-10 2421
[일반] 제2회. 贖罪獻美人(속죄헌미인), 烽火戱諸侯(봉화희제후)

제2회 贖罪獻美 烽火戲諸侯(속죄헌미 봉화희제후) 유왕에게 미녀를 바쳐 속죄한 포성의 성주와 봉화를 올려 제후들을 회롱한 주유왕 성
양승국 04-05-10 2980